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부 모음집79

[재료역학 Day 1] 하중, 변형률, 힘의 합성과 평형, 프와송의 비, 자중고려 1. 하중 2. 변형률 1. 종변형률(세로변형률)-길이방향 2. 횡변형률(가로변형률)-원주방향 3. 체적변형률은 종변형률의 3배이다. 3. 힘의 합성과 평형 4. 프와송의 비 1. mE=2G(m+1)=3K(m-2) 5. 응력집중과 조합단면 6. 자중 고려 2021. 2. 6.
[열역학 Day 5] 열 효과, 열전달, 증기 1. 열 효과 1. 응고잠열: 80kcal/kg 2. 100도씨 증발잠열: 538.8kcal/kg 3. 1mmAq= 9.8Pa 4. 1PS= 735.5W 5. 1HP= 746W 1. 제백효과: 양 금속간의 온도차로 기전력 발생 2. 펠티어효과: 서로다른 금속 붙어있음 전위차 발생-열의 이동(전자냉동 원리) 3. 톰슨효과: 단일 도체 양쪽에 전류 흐르면 열의 흡수, 방출 2. 열전달 3. 증기 1. 임계점: 임계점 이상의 온도에선 액체, 증기 혼재(구분 불가능) 2. 삼중점: 3상이 서로 평형 유지, 물의 경우 대기압 아래 2021. 2. 6.
[열역학 Day 4] 증기원동소 사이클, 가스동력 사이클, 냉동 사이클 1. 증기원동소 사이클(랭킨사이클) 1. 랭킨사이클의 구조: 보일러(정압가열)-터빈(단열팽창)-복수기(정압방열)-펌프(단열압축) 2. 가스동력 사이클-내연기관사이클-오토사이클 1. 오토사이클: 불꽃 점화기관의 이상사이클, 고속기관의 이상사이클 가스동력 사이클-내연기관사이클-디젤사이클, 사바테사이클 1. 디젤사이클(정압사이클): 저속디젤기관, 압축점화 내연기관의 이상사이클 2. 사바테사이클(합성사이클): 가열과정이 정적, 정압에서 동시에 이루어짐, 고속 디젤사이클 3. 가스동력 사이클-가스터빈 사이클-브레이튼 사이클 1. 브레이튼사이클: 가스터빈의 이상사이클, 정압연소 사이클 2. 브레이튼 사이클의 효율은 압력비만의 함수이다. 압력비가 클수록 효율이 증가 4. 냉동 사이클 냉매의 구비조건 1. 증기의 비열.. 2021. 2. 6.
[열역학 Day 3] 이상기체, 열역학 제 2법칙, 기체의 압축 1. 이상기체 이상기체(완전가스)의 조건 1. 압력이 낮을수록 2. 분자량이 작을수록 3. 온도가 높을수록 4. 비체적이 클수록 분자간 상호작용이 없다. 보일의 법칙(등온 법칙) PV = C 샤를의 법칙(등압 법칙) V/T = C 보일-샤를의 법칙 PV/T = C * 반데르발스 방정식 (P+a/v^2)(v-b)=RT a,b: 상수 b: 증기분자 부피 a: 분자사이 인력 v-b: 분자크기 배제한 부피 1. 기체상수= 8314/m [J/kg K] 2. Cp-Cv=R 3. 공기의 기체상수: 287 2. 열역학 제 2법칙(엔트로피 증가의 법칙) 1.에너지의 방향성 제시 2. 1법칙은 가역 허용, 2법칙은 비가역 3. 절대온도의 눈금 정의 4. 열효율 100%인 열기관(제 2 영구기관)은 제작이 불가능하다(열원에.. 2021. 2. 5.
[열역학 Day 2] 압력, 동력, 밀폐계의 일, 개방계의 일, 비열 1. 압력 1. 1atm= 760mmHg= 1.0332 kgf/cm^2= 1.013 bar 2. Tf= 9/5*Tc+32 2. 동력 1. 1kW= 860kcal/hr 2. 물의 비열=1kcal/kgC, 공기의 비열=0.24kcal/kgC 3. 열역학 제 0법칙: 열 평형의 법칙 4. 열역학 제 1법칙: 에너지 보존 법칙 3. 밀폐계의 일 1. 고위발열량: 연소가스 중 수분이 물의 형태로 존재 2. 저위발열량: 연소가스 중 수분이 증기의 형태로 존재 3. 밀폐계의 일: 절대일, 팽창일, 비유동일, 가역일 4. 개방계의 일 1. 개방계의 일: 공업일, 압축일, 유동일, 정상류일, 가역일 2. 정상유동 에너지 방정식 적용: 펌프, 터빈, 압축기 3. 엔탈피: 내부에너지와 유동에너지의 합 H=U+pV 4. 절대.. 2021. 2. 5.
[열역학 Day 1] 계, 상태량 1. 계(system) 밀폐계(비유동계): 질량x, 에너지o ex) 내연기관 개방계(유동계): 질량o, 에너지o ex) 펌프, 터빈, 압축기 고립계(절연계): 질량x, 에너지x ex) 로켓 동작물질(작업물질): 상변화를 일으켜 에너지 저장 또는 이동시키는 물질 ex) 냉매, 연료 공기 혼합가스, 증기기관 수증기 열역학적 평형: 열적 평형 + 역학적 평형+ 화학적 평형 2. 상태량 1) 점함수(상태함수): 완전미분, 편미분 모두 가능 2) 과정함수(경로함수): 편미분만 가능(불완전 미분) ex) 열, 일 * 열과 일은 열역학적 상태량이 아니다. 계의 경계에서만 관측된다. 상태량 종류 1) 강도성 상태량: 물질의 질량에 관계없이 크기 일정 ex) 온도, 압력, 밀도, 비체적 2) 종량성 상태량: 물질의 질량.. 2021. 2.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