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부 모음집79 [기계설계 Day 8] 기어 1. 기어 1. 미끄럼 없이 정확한 동력 전달 2. 압력각은 14.5, 20도 많이 사용 3. 내접기어: 회전방향 같다, 감속비 크다 2. 평기어 1. 모듈이 클수록 잇수는 적어지고 이는 커진다. 2. 원주피치가 클수록 잇수는 적어지고 이는 커진다. 이의 간섭: 큰 기어의 이끝이 피니언의 이뿌리에 부딪힘 언더컷: 이의 간섭이 심할 경우 피니언의 이뿌리 깎아냄. 접촉면에서 법손속도 따라서 소음 발생 3. 헬리컬 기어 4. 베벨기어 5. 웜기어 1. 웜기어: 작은 용량으로 큰 감속비 2021. 2. 22. [기계설계 Day 7] 마찰차 1. 원동차, 종동차 표면 속도 동일 2. 미끄럼으로 효율이 낮아 큰 동력전달이 불가능 3. 무단 변속 가능, 정확한 속비x 4. 베어링 마멸이 크다 홈마찰차 홈마찰차의 스펙 1. 홈각도: 30~40도 2. 피치: 3~20mm 3. 보통 피치: 10mm 4. 홈수: 5개 원추마찰차 무단변속 마찰차 1. 무단변속마찰차: 원동축 회전속도 동일, 종동축 변화, 효율이 가장 낮다 2. 에반스마찰차: 2개의 원추 마찰차 사이에 링 끼워 사용 2021. 2. 22. [기계설계 Day 6] 베어링 1. 베어링 1. 저널: 축에서 베어링과 접촉하는 부분 2. 레이디얼: 힘이 축에 수직 3. 스러스트: 힘이 추과 평형 베어링 설계 시 주의사항 - 마찰 저항이 낮을 것 - 열전도율이 높을 것(열발산) - 축보다 면압강도 우수할 것 2. 미끄럼 베어링 1. 미끄럼 베어링: 공진영역 지나 운전가능, 충격부하 가장 큼 2. 구조: 베어링 메탈, 윤활부, 하우징 3. 윤활방법 4. 베어링 계산 식 1. 베어링 허용 온도: 60 2. 유막온도: 베어링 표면보다 5~10도 높게 5. 구름 베어링 1. 정격수명: 베어링 여러개 중 90% 이상의 베어링이 피로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총 회전수나 시간 2. 기본 부하 용량(정격하중): 구름 베어링이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 3. 기본 정격 부하 용량: 정지 또는 저속에.. 2021. 2. 22. [열역학 문제 #4] 열평형, 혼합, 냉매 1. 열평형, 혼합 2. 냉매 냉매의 구비조건 - 증발열이 커야한다 - 증기의 비열은 크고 액체의 비열은 작아야 한다 - 점성계수가 작다 - 열전도계수가 크다 - 응고점이 낮아야 한다 - 증기의 비체적이 작아야 한다 - 전기저항이 커야한다 - 임계온도가 높아야 한다 * 줄-톰슨 계수: 등엔탈피 과정에 대한 온도변화와 압력의 비. 교축과정에서 계수가 양수이면 교축중에 온도가 떨어진다는 것, 음수이면 교축중에 온도가 올라간다는 것을 의미 *열역학적 기구들 노즐: 단면적의 변화로 열에너지 또는 압력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는 기구.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목적 디퓨저: 속도를 감소시켜 정압력을 증가, 노즐과 반대 기능 터빈: 작동유체가 가지는 에너지를 유용한 기계적인 일로 변환 2021. 2. 22. [열역학 문제 #3] 개방계 식 계산, 건도, 증기, 사이클 1. 개방계 식 계산 2. 건도, 증기 1. 상변화를 포함하는 물, 수증기 상태는 온도, 압력으로는 결정되지 않는다. 3. 사이클 1) 랭킨사이클을 재생 사이클로 바꾸었을 때 특징 - 사이클 효율이 높다 -응축기의 방열량이 적다 - 보일러에서 가해야 할 열량이 작다 - 터빈일이 감소한다 2) 재열사이클의 특징 - 랭킨사이클보다 효율이 더 높다 - 터빈 출구 건도가 증가한다 - 터빈 출구 온도를 높일 수 있다 - 기기 비용이 더 많이 든다 3) 랭킨사이클의 효율 증대 방안 - 복수기 압력 감소 - 보일러 압력 증가 - 터빈의 초온, 초압 증가 - 터빈 출구 압력 감소(터빈 출구 온도를 높이면 안된다, 반대로 낮추면 깃이 부식된다) - 재열장치 사용 4) 사이클 종류 - 브레이턴: S P S P - 에릭슨:.. 2021. 2. 22. [열역학 문제 #2] 일량 계산, 폴리트로픽 1. 일량 계산 1. 등온변화일 때: 열의 출입량=절대일=공업일 2. 폴리트로픽 2021. 2. 20. 이전 1 ··· 5 6 7 8 9 10 11 ··· 14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