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부 모음집79

[기계의 진리 오답 #2] 2020년 상반기 한국환경공단_2 21. 유체의 국부저항 손실 밸브류, 이음쇠, 굴곡관, 관의 축소 확대에서 발생 부차적 손실, 형상손실, 국부저항 이라고도 한다. 직선 원관 내에서의 손실은 직접적인 손실이다. 22. 선반 주축을 중공축으로 한 이유 굽힘과 비틀림 응력에 대한 강화 긴 가공물 고정 편리 주축의 무게 줄이기 주축 베어링에 작용하는 하중 줄이기 26. 부력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물체가 밀어낸 부피만큼의 액체 무게 중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 부력은 유체에 의한 압력차에 의해 생긴다. 28. 골지름 수나사 및 암나사의 골에 접하는 가상적인 지름. 수나사에서는 최소지름, 암나사에서는 최대지름 29. 평벨트의 초기장력 일반적인 벨트 전동은 이가 없이 마찰력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운전 전에 미리 벨트에다가 장력을 가해 땡땡해지도록.. 2021. 3. 8.
[기계의 진리 오답 #1] 2020년 상반기 한국환경공단_1 1. 설계 시 크기 순서 극한강도>항복점>탄성한도>허용응력>=사용응력 2. 분포하중의 종류 균일 (등)분포하중, 불균일 분포하중, 점변 분포하중(삼각형 분포하중, 점가하중), 부분 분포하중, 이동 분포하중 3. 변형률 변형률은 무차원수이다. 4. 좌굴 원인 - 재료의 불균일 - 하중의 방향과 기둥의 중심선 불일치 - 기둥의 중심선이 직선이 아님 - 세로방향의 하중에 의한 굽힘과 처짐 단주: 세장비 30이하, 축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면 휘지 않고 파괴된다. 단주는 장주에 비해 큰 하중에 저항 가능 중간주: 세장비 30~160 장주: 세장비 160이상, 길이가 긴 기둥으로 축 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면 직경방향으로 크게 휘면서 파괴 5. 재료역학의 정의 재료역학: 변형체, 즉 작용하중이나 온도변화에 의해서.. 2021. 3. 8.
[기계설계 문제 #4] 브레이크와 플라이휠 내확브레이크 원판 브레이크, 원추 브레이크 밴드 브레이크 2021. 3. 8.
[기계설계 문제 #3] 감아걸기 전동 요소 1. 접촉각이 클수록 미끄럼이 작고 큰 동력 전달 2. 축간 거리가 짧고 지름차이가 크면 접촉각 작아짐 1. 속도변동률이 크면 장력의 변동이 커지고 소음, 진동, 마멸 발생 2021. 3. 8.
[재료역학 문제 #1] 응력의 조합 1. 주평면: 최대주응력, 최소주응력이 존재하고 전단응력이 0이 되는 면. 각도는 0도 2021. 2. 28.
[기계설계 문제 #2] 키, 핀, 코터 1. 코터는 2중 전단을 받는다. 전단응력=P/2bh 2021. 2.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