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모음집/모의고사

[기계의 진리 오답 #1] 2020년 상반기 한국환경공단_1

by jeonsnow 2021. 3. 8.
728x90
반응형

1. 설계 시 크기 순서

 

극한강도>항복점>탄성한도>허용응력>=사용응력


2. 분포하중의 종류

 

균일 (등)분포하중, 불균일 분포하중, 점변 분포하중(삼각형 분포하중, 점가하중), 부분 분포하중, 이동 분포하중


3. 변형률

 

변형률무차원수이다.


4. 좌굴

 

원인

- 재료의 불균일

- 하중의 방향과 기둥의 중심선 불일치

- 기둥의 중심선이 직선이 아님

- 세로방향의 하중에 의한 굽힘과 처짐

 

단주: 세장비 30이하, 축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면 휘지 않고 파괴된다. 단주는 장주에 비해 큰 하중에 저항 가능

 

중간주: 세장비 30~160

 

장주: 세장비 160이상, 길이가 긴 기둥으로 축 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면 직경방향으로 크게 휘면서 파괴


5. 재료역학의 정의

 

재료역학: 변형체, 즉 작용하중이나 온도변화에 의해서 그 크기와 형상의 변화를 다루는 학문


6.

 

항복응력: 응력을 증가시키지 않아도 변형이 계속 일어나는 상태의 응력

 

극한강도: 재료가 견딜 수 있는 최대의 응력을 말하며 인장강도, 최대공칭응력 이라고도 한다.

 

비례한도: 응력과 변형률이 비례하는 구간의 한도 값

 

탄성한도: 외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상태로 돌아오는 성질을 탄성이라고 하며 그 한계점에서의 응력을 탄성한도라고 함

 


7. 자유물체도

 

힘, 거리, 각도를 모르는 경우 좌표계의 양의 방향으로 표시하는 것이 좋다.

자유물체도를 그릴 때에는 내력은 표시하지 않는다. 외력만 표시한다.


8. 부정정보

 

부정정보: 양단고정보, 고정지지보(일단고정 타단지지보), 연속보

 

정정보: 외팔보, 단순보, 돌출보, 게르버보


9. 비열

 

어떤 물질 1kg을 1도씨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 비열이 클수록 열량이 많이 필요하므로 온도를 변화시키기 어려워 온도 변화가 작다.

 

일반적으로 액체의 비열이 고체의 비열보다 크다. 즉 동일한 열량을 가했을 때 액체의 온도변화가 더 작다.

 

냉각수는 비열이 큰 것을 사용한다(차갑게 유지하기 위해 열을 빼앗은 후에도 온도변화가 작아야한다)


10. 가열 시 변화

 

- 분자의 집합형태가 변한다(분자간의 거리가 서로 멀어지므로)

-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한다.

- 분자간의 결합력(위치에너지)가 변한다.

- 외부에 저항하여 부피에 변화가 생긴다.


11. 열전달

 

전도: 물체 내의 이웃한 분자들의 연속적인 충돌에 의해 열이 이동.

       고체 내에서 발생하는 유일한 열전달이며 고체, 액체, 기체에서 다 발생할 수 있다(주로 고체)

       푸리에 법칙

 

대류: 액체나 기체 분자가 직접 이동하면서 열을 전달하는 현상으로 매질이 직접 이동.

       유체의 밀도차이와 부력에 의해 분자들이 이동하면서 열이 이동.

       뉴턴의 냉각법칙

 

자연대류: 유체에 열이 가해져 발생한 온도차에 의해 밀도차이만으로 발생

             중력이 작용하는 공간에서 밀도차이에 의해 발생

             ex) 주전자 물 끓이기

 

강제대류: 펌프 및 송풍기 등으로 강제적으로 대류 발생 

             ex) 에어컨

 

복사: 물질을 거치지 않고 열에너지가 전자기파의 형태로 직접 열을 이동.

       열의 이동속도는 빛의 속도와 같다.

       매질 없이도 열이 직접 전달

       스테판 볼츠만 법칙

       ex) 전자레인지, 조명, 태양복사, 전기히터


12. 아보가드로 법칙

 

압력과 온도가 같을 때, 모든 가스는 단위 체적 속에서 같은 수의 분자를 갖는다.

 

압력 온도가 같을 때 1L의 산소, 수소에 들어있는 분자수는 동일하다.


13. 열역학 법칙 발견 순서

 

1203


16. 정압과정

 

정압과정= 샤를의 법칙= 게이-뤼삭의 법칙


17. 난류의 특징

 

불규칙, 무작위성

유량이 증가할 때(속도가 증가할 때) 또는 점성이 낮을 때 발생

3차원, 회전성을 갖는다.

 

*층류: 유체 입자들이 얇은 층을 이루어서 층과 층 사이에 입자 교환 없이 질서정연하게 미끄러지면서 흐르는 유동


19. 부양체의 안정

 

안정상태: MC>0, 경심이 무게중심보다 위에 있을 때 안정하다.


20. 표면장력

 

응집력이 부착력보다 큰 경우에 발생

모든 방향으로 같은 크기의 힘이 작용하여 합력은 0이다.

수은>물>비눗물>에탄올 순으로 표면장력이 크다.

합성세제 및 비누같은 계면활성제는 표면장력을 감소시킨다.

염분은 표면장력을 증가시킨다.

표면장력이 클수록 인력이 강해져 증발시간이 오래걸린다.

표면장력은 물의 냉각효과를 떨어뜨린다.

 

ex) 소금쟁이, 수면위 뜬 바늘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