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응축기 종류
수냉식: 물로 냉각
공랭식: 공기로 냉각, 큰 압축기 필요하므로 전력소모가 크다.
증발식: 증발잠열로 냉각, 보급수량 결정요인(증발수량, 보급수량, 소비수량)
1. 입형 셸 튜브식
- 수냉식
- 입형이므로 설치면적이 작고 소형이다.
- 냉각수 소비량이 많다.
- 청소용이, 운전 중 청소가능
- 과부하에 잘견딘다.
2. 회형 셸 튜브식(직교류형)
- 전열 양호, 부식이 쉽다.
- 청소가 어렵다.
- 대형
- 관내 수속 1~3m/s
3. 셸 앤 코일식
- 냉각관 청소 어렵다.
4. 2중관식
- 향류라서 전열효율이 높다.
5. 7통로식
- 열통과율, 전열이 가장 좋다.
- 조립식
- 구조가 복잡하다.
- 냉각수량이 입형에 비해 적다.
6. 증발식 응축기
- 옥상, 노출형, 공랙식 가능, 전열불량
7. 공랭식 응축기
- 전열불량
*좋은 순서: 7통로 > 횡형(2중관) > 입형 > 증발 > 공랭
냉각탑
보급수량은 순환수량의 2~3%
쿨링 레인지: 냉각수 입출구 온도차, 5도씨
쿨링 어프로치: 냉각탑 출구수온(32도) - 외기습구온도(27) = 5도
1RT of C.T. = 3900kcal/h
쿨링레인지가 클수록, 어프로치가 작을수록 성능이 좋다.
어프로치가 클수록 설비비가 비싸진다.
응축압력 상승 원인
1. 공기, 불응축 가스 혼입 시
2. 냉각수온, 냉각 공기온도 증가
3. 부하 증가
4. 냉각수 부족, 냉매 과다충전 시
응축압력 상승 시 압축비가 증가하고 토출가스 온도가 증가한다.
불응축 가스: 응축기, 수액기에 응축되지 않고 남아있는 가스
가스퍼저로 제거(응축기 상부, 고압 수액기 상부에 설치)
반응형
'공부 모음집 > 공조냉동기계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냉동공학 #7 (팽창밸브, 제상방법) (0) | 2021.10.31 |
---|---|
2. 냉동공학 #6 (증발기, 부속기기) (0) | 2021.10.31 |
2. 냉동공학 #4 (브라인, 냉동사이클, 압축기) (0) | 2021.10.29 |
2. 냉동공학 #3 (압축기 종류, 암모니아냉매, 프레온냉매) (0) | 2021.10.15 |
2. 냉동공학 #2 (냉동효과, 냉동능력, 냉동톤, 제빙톤, 플래시가스) (0) | 2021.10.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