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모음집/공조냉동기계 기사

2. 냉동공학 #1 (증기압축식, 흡수식 냉동법, 축열시스템)

by jeonsnow 2021. 10. 15.
728x90
반응형

1. 증기압축식 냉동법

냉매의 증발잠열 이용

압축기 - 응축기 - 팽창밸브 - 증발기

액체 가압으로 입력일이 크다.

 

2. 흡수식 냉동법

압축기를 사용하지 않음(대신 흡수기, 재사용기 사용), 따라서 기계적인 일이 없음

소음, 진동이 적다.

기체를 액화시키기 위해 흡수제 사용(비등점 차이 이용)

대기압 이하(진공)에서 작동, 위험성과 도달속도가 작다.

냉매 흡수제
NH3 H2O
H2O LiBr

발생기: 희용액 연속적으로 사용

듀링선도(P-T)사용

이중효용: 재생기+1, 열교환기+1

용량제어법: 응축수량, 발생기 공급용액량, 발생기 공급증기, 온수


냉동법의 종류

 

증기분사식 냉동법: 이젝터(압축기 역할) 사용

 

전자 냉동법: 펠티어 효과, 이종금속 전기주어 열 발생

 

열병합 발전시스템: 증기터빈, 전기생산, 폐열

 

축열 시스템: 심야시간에 이용, 값싼 전기

 

방축열 시스템: 축열조+열교환기+냉동기+냉각탑

 

폐열회수 장치 히트파이프: 응축+단열+증발


축열시스템

 

1. 수축열: 구조간단, 설치면적 넓음, 방수와 단열 어려움, 난방 시 축열대응에 적합

 

2. 빙축열: 현재 축열장치의 대부분, 단위체적당 발생열량이 높음(소형화, 고효율)

  • 정적제빙형: 관내착, 관외착, 캡슐, 완전동결
  • 동적제빙형: 빙박리, 액체식 빙생성(직접: 아이스방식, 간접: 열교환방식)

 

반응형

댓글